매매기법/보조지표

※ 해외선물 차트 보조지표 정리 ※

인피녹스 강요셉본부장 2023. 5. 18. 16:02

주식보조지표 정리

(RSI, 볼린저밴드, MACD,

스토캐스틱)

 

1.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RSI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이다.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1978년 미국의 월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 Jr.)가 개발했다.
RSI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계산방법]

주어진 기간의 모든 날의 주가에 대해서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상승한 날의 상승분은 U(up) 값이라고 하고,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하락한 날의 하락분은 D(down) 값이라고 한다.

U값과 D값의 평균값을 구하여 그것을 각각 AU(average ups)와 AD(average downs)라 한다.

AU를 AD값으로 나눈 것을 RS(relative strength) 값이라고 한다. RS 값이 크다는 것은 일정 기간 하락한 폭보다 상승한 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계산에 의하여 RSI 값을 구한다.

RSI 계산 공식 :

RSI = RS / (1 + RS)

또는, 다음과 같이 구해도 결과는 동일하다.

RSI = AU / (AU + AD)

대체로 이 값은 백분율로 나타낸다.

이 지표의 파라메터로는 기간을 며칠 동안으로 할 것인가가 있다. Welles Wilder는 14일을 사용할 것을 권유했다. 대체로 사용되는 값은 9일, 14~15일, 25~28일 등이다.

RSI 그래프는 이동평균선을 함께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며, 이동평균선을 며칠선으로 할 것인가 역시 파라메터로 주어진다. RSI를 15일에 대하여 구하고 5일 이동평균선을 함께 표시하는 경우 그래프에 (15, 5)라고 표시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사한 지표로는 스토캐스틱이 있다. RSI 그래프의 형태는 fast stochastic과 비슷하게 나온다

[운영법]

RSI는 0~100까지의 값으로 표현하며, RSI가 보통 70이상이면 과열, 30이하이면 과냉각으로 본다.

RSI가 70%를 넘어서면 매도 포지션을, 30% 밑으로 떨어지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이 경우 대부분의 오실레이터 형 지표가 그렇듯 초과매수, 초과매도 국면에서 오래 머물며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전략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힘들다는 맹점이 있다. 따라서 이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으로 RSI가 70%를 넘어선 후 머물러 있다가 다시 70%를 깨고 내려오면 매도를, RSI가 30% 밑으로 내려가 머물러 있다가 다시 30% 이상으로 올라오면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완할수 있다.

또 다른 전략으로는, RSI가 50%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RSI가 50%를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는 식의 방법으로 매매할 수 있다.

주가는 상승하고 있지만 RSI는 하강하는 식으로, RSI가 가격 변동과 역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천정에 다다랐을 때는 추세가 꺾이기 쉽다. 주가 하락시 RSI가 상승하는 반대의 경우는 추세가 반등하기 쉽다.

RSI는 상승추세나 하락추세시 과매수와 과매도 신호를 모두 사용하는 것보다는 한가지 신호만 고려하는 것이 좋다. 즉, 상승추세에서는 과매수권 진입이 자주 나타나므로 과매도권 진입시만 매수시점으로 활용하고, 하락추세에서는 과매도권 진입이 자주 나타나므로 과매수권 진입시만 매도시점으로 활용하는 식이다.

2.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주가지표를 말한다

. 볼린저밴드는 기존 지표들이 적절한 매매시기를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격변동띠를 탄력적으로 변화시켜 만든 지표이다.-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 지표는 대부분의 유가증권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그리고 하단밴드의 세 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표준편차는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폭이 좁아지는 자기조정 기능을 발휘한다.

가격변동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 밴드를 과매도·과매수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유가증권은 일정 기간 과매수·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지의 여부를 알면 다른 지표의 해석능력을 높여줘 거래타이밍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의 확인 외에도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시그널을 만들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계산방법]

[운영법]

볼린저 밴드의 윗선은 저항선이며, 아랫선은 지지선으로 본다.

20일선(중간선)은 지지 혹은 저항선으로 경우에 따라 해석한다. 지지선에서 매수하고 저항선에서 매도.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아지는 경우, 상하방으로 큰 폭의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해석

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나타내는 지표.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주가의 변동으로 인해 수렴과 확산을 반복한다는 원리에 기반을 두고 두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가장 큰 시점을 찾아내 추세 변화의 신호로 삼는 지표이다.

MACD는 크게 MACD 선과 시그널선(signal line)으로 구성된다. MACD 선은 단기 지수이동평균과 장기 지수이동평균의 차이로 구해지며 일반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의 경우 12일, 장기 이동평균선의 경우 26일이 이용된다. 단기 지수이동평균이 장기 지수이동평균보다 위쪽에 위치하면 MACD선은 양수가 되고 이것은 주가가 상승하는 신호로 여겨진다. 반대로 단기 지수이동평균이 장기 지수이동평균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MACD 선은 음수가 되고 이것은 주가가 하락하는 신호로 여겨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두산백과)

산출공식 :

단기이평12- 장기이평26 = MACD

=>즉. 12일을 추종하는 단기이동평균선에서 26일 추종하는 장기이동평균선을 뺀것.

DIFFERENCE(SPREAD) (단기이평12 - 장기이평26) * 9 = MACD SIGNAL LINE

=>단기이평12일과 26일의 차이를 9일간 지수평균으로 산출한 것.

두시그널이 교차할때 단, 장기 이평선의 차이가 가장 크므로 매수, 매도타이밍으로 간주함.

macd선이 시그널 선 위로 올라가게 되면 MACD가 9일동안의 평균보다 높게형성

[운영법]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상향 돌파할때 - 매수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할때 - 매도

MACD는 추세 전환 시점을 예측하기보다 추세의 방향과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평가

[장점 및 단점]

장점 : 계산이 용이하며 객관적임

단점 : 추세의 움직임을 선행하지 못하고 항상 뒤따르는 후행성임.

- MACD Oscillator

- MACD에서 시그널 라인을 감하여 계산된 지표이다. 일반 MACD는 단기이평-장기이평 = MACD 값이 나오게 되고 여기서 9일 이동평균을 만들어 시그널 라인을 만들게 된다. 즉, 산출된 9일 동안의 MACD 값을 갖고 위와 같은 지수 평활법식으로 평균을 낸 값이 바로 시그널 라인이다. MACD 오실레이터는 MACD보다 더욱 빠르게 매매신호를 잡아주는 특성이 있다.

[산출방식]

MACD = STMA - LTMA

= SHORT TERM MOVING AVERAGE - LONG TERM MOVING AVERAGE

MACD Signal = MACD 9일 이동평균

MACD 오실레이터 = MACD - MACD Signal

- 위의 공식은 MACD 의 산출공식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동평균의 후행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MACD를 만들고 다시 MACD의 후행성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한번 평활화(Smooting)를 한 것을 알 수 있다. 오실레이터의 의미는 진동하는 사물을 뜻하는데, 어떤 사물이 진동함에 있어서 항상 축을 기준으로, 또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하운동 또는 좌우운동을 하게 됩니다.그 축을 기준으로 지표는 0을 사이에 두고 마치 시계추처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물리학적 의미를 바탕으로 분석기법에 응용해서 쓰는 것이다.

4. 스토캐스틱 (STOCHASTIC/탄력성지표)

 

[ 개요]

현 주가수준이 일정 기간 동안 변동했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수준에 위치해 있는가를 가지고 판단하는 지표이다. 즉, %K값이 100일 경우 당일 종가가 5일 동안 형성된 시장가격 중 최고 수준임을 의미하며, %K값이 0일 경우 당일 종가가 5일 동안 형성된 시장가격 중 최저 가격을 의미한다. 이 지표의 활용방법은 %K지표가 80% 이상에서 %D를 뚫고 하락할 때 매도시점을 파악하고, %K지표가 20% 이하에서 %D를 뚫고 상승할 때 매수시점을 파악하면 된다. 이 지표는 단기 매매 지표로 이용된다.

%K=[주가-5일간 최저가]÷[5일간 최고가-5일간 최저가] ※ %D : %K를 3일 동안 이동 평균한 지표

[네이버 지식백과] STOCHASTIC (매일경제, 매경닷컴)

스토캐스틱은 크게 슬로 스토캐스틱(slow Stochastic)과 패스트 스토캐스틱(fast Stochastic)로 나뉜다. 패스트스토캐스틱은 주가나 환율의 변동이 자주 발생해서 단기매매, 빠른 매매에 유리한 지표다.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잦은 변동으로 투자판단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느리게 만든 것이 슬로 스토캐스틱이라 보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토캐스틱 [Stochastics]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MACD와 함께 매매시점을 찾는 데 활용, MACD가 주가 추세 및 변화를 확인하는데 쓰인다면

스토캐스틱은 매매 시점을 확인하는데 쓰임.

[운영법]

%K곡선(주가수준)이 %D(이동편균선) 곡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돌파(골든크로스)할때 매수,

K곡선(주가수준)이 %D(이동편균선) 곡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데드크로스)할때 매도

=> 스토캐스틱만으로 추세파악이 쉽지 않아 이동평균선 및 MACD를 같이보는 게 좋음.

=> 변동성이 너무 자은 패스트 스토캐스틱보다는 슬로우 스토캐스틱을 사용함.

=> 스토캐스틱이 50이상이면 상승추세, 50이하이면 하락추세

=> 다이버전스 상황이라는 주가와 스토캐스틱이 반대로 움직이는 특수한 경우가 있긴함.

=> %K곡선(주가수준)과 %D(이동편균선)이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음.